대한민국은 20년째 주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이태원 참사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관 두 명이 극단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하는 안타까운 사건은 이러한 현실을 더욱 뼈저리게 상기시킨다. 이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겪었을 고통과 그 전에 사회가 더 도울 수 있는 일은 없었는지에 대한 깊은 질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의식 하에, 이재명 대통령은 자살을 단순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범정부 차원의 획기적인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자살예방정책위원회 위원장인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 지시에 따라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으며, 관계 부처와 함께 자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천명했다. 이는 그동안 지속되어 온 높은 자살률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앞으로 정부는 취업난, 경제난, 입시 스트레스, 범죄 피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삶의 여러 고비에서 절망에 빠진 이들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회적 재난’ 규정과 범정부 차원의 대책 추진은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관련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현장에서 헌신하는 민간 활동가들의 연대를 통해,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도록 돕는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어 우리 사회의 자살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모든 생명을 존중하는 문화가 확산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