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앞두고 벌초, 성묘, 산행 등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각종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벌 쏘임, 뱀 물림, 예초기 사용 중 사고는 해마다 반복되는 명절 안전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명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소방청 구급활동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동안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벌 쏘임 사고로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는 총 1474명에 달한다. 이는 하루 평균 59명의 벌 쏘임 사고가 발생했음을 의미하며, 이 중 3명은 심정지 상태로 이송되는 충격적인 결과로 나타나 작은 부주의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뱀 물림 사고 역시 추석 연휴 기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25건에서 2024년에는 52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성묘나 벌초 등 야외활동 증가와 함께 뱀과의 접촉 빈도가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벌초 작업에 필수적인 예초기 사고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위험 요소다. 예초기 날에 팔다리 등 신체 부위가 베이거나, 돌이나 나무 조각이 눈에 튀어 안구를 다치는 심각한 부상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예초기 오일로 인한 2도 화상까지 발생하는 등 예초기 사용 중 발생하는 사고의 심각성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야외 활동 중 발생하는 사고에 더해, 귀성·귀경 차량 이동량 급증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역시 높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교통사고로 구급 이송된 인원은 1만 2038명으로, 연휴 기간 하루 평균 482명에 달하는 수치다.
이러한 반복되는 야외 안전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부주의’와 ‘안전수칙 미준수’에 있다. 이에 소방청은 야외 활동 시 반드시 지켜야 할 구체적인 안전 수칙을 강조하며 사고 예방에 나서고 있다. 벌초나 성묘를 위해 산행할 때는 향이 짙은 화장품이나 향수 사용을 삼가고, 벌에 쏘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밝은색 계열의 옷을 착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뱀 물림이나 진드기 등 각종 물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긴 소매와 발목을 덮는 옷, 그리고 장화를 착용하여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예초기 사용 시에는 반드시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작업자와 작업 대상 풀과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안전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반드시 두 명 이상이 함께 작업할 것을 권장한다. 만약 벌에 쏘이거나 뱀에 물린 후 어지러움, 구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온열질환 증상(어지럼증, 근육경련, 실신 등)이 발생할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하고 의료기관의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더불어, 장거리 이동 시에는 졸음운전 예방, 과속 및 음주운전 금지 등 기본적인 교통수칙을 준수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사고 예방의 핵심이다. 유병욱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예년보다 긴 추석 연휴 동안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소방에서도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한 대응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처럼 구체적인 안전 수칙 준수를 통해 추석 명절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야외 안전사고 위험을 크게 줄이고, 온 가족이 건강하고 즐거운 명절을 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