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호우로 인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지만, 정부의 재해 복구 지원 방식에 변화가 감지된다. 과거와는 달리, 이번 집중 호우 피해 복구 과정에서 법무부는 ‘사회봉사명령 대상자’와 ‘교정기관 보라미봉사단’을 적극적으로 투입하며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나섰다. 이는 재해 피해 이재민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정부의 새로운 대응 방안은 현장 복구 지원과 법률 상담 지원이라는 두 가지 큰 축으로 이루어진다. 현장 복구 지원에는 2025년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1,788명의 사회봉사명령 대상자가 투입된다. 이들은 수해 지역의 토사 제거, 파손된 시설물 복구, 그리고 침수된 농작물 피해 복구 등 산적한 복구 작업에 동원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교정기관에서 운영하는 ‘보라미봉사단’ 소속 296명 역시 현장에 투입되어 동일한 복구 활동에 힘을 보탠다. 이는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각적인 접근으로 평가된다.
더불어,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법률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중대재해 피해 법률지원단’이 현장에 파견된다. 이 지원단은 대한법률구조공단, 법률홈닥터, 마을변호사 등 총 7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이재민들이 겪을 수 있는 보험금 청구 문제, 손해배상 청구 등 복잡한 법률적 사안에 대해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러한 법률 지원은 재해로 인한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겪는 이재민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법무부의 이러한 변화된 재해 복구 지원 방식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에 대한 정부의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봉사명령 대상자와 보라미봉사단의 적극적인 현장 투입은 복구 작업의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며, 전문적인 법률 지원은 이재민들이 겪는 고통을 실질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지역 사회의 회복력을 증진시키고 피해를 입은 국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는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