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답고 빼어난 자연 경관을 지닌 전라남도 지역의 두 곳이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보성 오봉산 용추동과 칼바위 일원」과 「여수 거문도 수월산 일원」을 명승으로 각각 지정 예고하며, 이들 지역의 풍부한 자연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다.
「보성 오봉산 용추동과 칼바위 일원」은 이미 여러 지리지와 문집에 경승지로 기록되어 온 유서 깊은 곳이다. 이곳은 등산로를 따라 독특한 기암괴석인 풍혈지와 칼바위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에서는 남해안 득량만의 아름다운 해안 풍광을 조망할 수 있다. 또한, 용추동 계곡의 용추폭포와 울창한 숲은 그림 같은 경관을 연출한다. 특히, 칼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상과 개흥사지 등은 불교 신앙의 유적으로서 종교적, 민속적 가치를 더하며, 여제 봉행 기록은 이곳의 역사적 중요성을 뒷받침한다. 더불어, 우리나라 온돌문화의 핵심 재료인 구들장을 채취하던 곳으로, 채석지와 이를 운반하던 우마차길 등이 잘 보존되어 있어 자연과 문화, 그리고 산업적 가치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귀중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여수 거문도 수월산 일원」은 목넘이를 지나 거문도 등대로 이어지는 탐방로를 따라 펼쳐지는 동백나무숲이 인상적인 곳이다. 동백나무 개화 시기에는 화려한 경관을 선사하며, 숲 사이로는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해안 풍광과 아름다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다. 탐방로 끝 절벽에 위치한 거문도등대와 백도를 바라볼 수 있는 관백정에서는 명승으로 지정된 여수 상·하백도와 일출도 조망할 수 있어 대표적인 경승지로 손꼽힌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남해 방어의 핵심이자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1885년 거문도 사건과 남해안 최초의 등대는 항로 개척사, 근대 해양사, 국제 정치사의 중요한 역사적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백나무, 돈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등 다양한 남부 해안 식생과 동박새, 흑비둘기 등 여러 조류가 서식하여 생태학적 가치 또한 매우 뛰어나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두 건의 자연유산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예정이다. 이후 자연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명승으로 지정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이들 지역의 자연유산적 가치를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