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잇따른 사망 사고가 업계 전반의 심각한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매일경제가 보도한 바와 같이, 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전체 사업장에 타격을 주며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닌, 건설 산업 생태계 전반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상황은 건설 인력난과 맞물려 더욱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다. 중앙일보는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공사가 중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택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했다. 건설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는 이미 만성적인 상황이었으나, 안전 사고에 대한 강화된 규제와 맞물리면서 그 파급 효과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강화된 처벌 규정으로 인한 영세 기업의 존립 위협이다. 서울경제는 연 3명의 사망 사고 발생 시 영업이익의 5%에 달하는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이는 영세 기업의 존속을 흔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국경제는 영업정지 3회 시 법인 등록 말소, 외국인 사망 시 3년간 인력 공급 규제 등의 내용을 언급하며, 이러한 강력한 제재가 건설업에서 기업들이 발을 빼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선일보는 사망 사고로 영업정지 3회를 받으면 등록이 말소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기업 운영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러한 일련의 보도들은 건설 현장의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강력한 정책적 개입이 불가피함을 시사한다. 잇따르는 사고와 이로 인한 잠재적 연쇄 부도, 주택 공급 차질 우려, 그리고 영세 기업의 존폐 위협이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하여, 정부의 보다 면밀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강화된 규제가 안전을 담보하는 동시에 산업의 근간을 흔들지 않도록 하는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