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위기가 지역 관광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으로의 전환이 시급한 상황에서, 중앙 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는 현장 주도형 체계로의 전환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주목받고 있으며, 군산문화관광재단은 이 사업의 일환으로 20년 만에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군산항 여객터미널은 과거 20년간 폐쇄되어 지역의 잊혀진 공간으로 남아있었으나,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으로 변모했다. 군산문화관광재단은 옛 여객터미널의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이 사업은 단순히 공간을 재조성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건물 1층을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그대로 재현하여 방문객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선유도 직행’이라는 옛 간판은 그 시절의 추억을 고스란히 간직하게 한다.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대관 회의실 등이 마련되어 관광객들이 군산 내항을 바라보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멀리 동백대교와 내항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옥상 공간에서는 개관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옛 어부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미션 스탬프 투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많은 시민과 관광객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번 군산항 여객터미널의 부활은 지역주도형 관광 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과거 군산항의 기억을 간직한 상징적인 장소가 지역의 주도로 새롭게 재탄생함으로써,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항구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 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이라는 거대한 과제 앞에서 지역이 주체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