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북 관계는 교류 협력의 동력이 상당 부분 약화되면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통일부는 5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남북교류협력 추진체계 정비’를 통해 경색된 남북 관계에 활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정부 주도의 사업을 넘어, 국민과 민간 부문이 함께 참여하고 공감할 수 있는 ‘호혜적’ 교류 협력의 기반을 다시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남북교류협력 추진체계 정비 방안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설정된다. 첫째, ‘민관 남북교류 거버넌스 재건 및 강화’를 통해 그동안 소원해졌던 정부와 민간의 협력 관계를 복원하고 한층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또한, ‘민간 교류의 제도적 및 물적 지원 체계 개선’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민간 교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질적인 뒷받침을 제공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종교, 문화, 체육 등 폭넓은 영역에서의 민간 교류를 지원하며, 교류 단체 및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주요 국제 행사 등 적절한 계기를 적극 활용하여 민간 교류의 재개를 도모할 방침이다.
둘째, 남북 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기후 공동 대응과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한 협력 추진’을 강조한다. 특히 인도적 협력은 정치적, 군사적 상황과 무관하게 일관되고 흔들림 없이 추진되어야 함을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해 남북 간 인도적 협력의 통로를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정책은 남북 교류 협력이 특정 정파의 이익이 아닌, 국민 전체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 ‘호혜적’ 관계 구축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한다.
만약 이러한 민관 거버넌스 강화와 민간 교류 지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경색되었던 남북 관계는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인도적 협력의 복원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며, 기후 변화와 같은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남북한 주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국민들이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는 남북 교류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