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이 추진되는 가운데, 이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공공기관의 선도적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역량을 결집해야 하는 이 과제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탄소중립 달성,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핵심 목표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각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이며, 그동안 개별 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9월 24일, ‘공공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협의회'(이하 공공 정책협의회)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한국전력공사 및 발전공기업을 비롯해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도로공사, 철도공사, 공항공사, 에너지기술평가관리원, 에너지공단 등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최초의 협의체다. 1차 회의에서는 각 기관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방안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이는 재생에너지 대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특히, 이원주 에너지정책실장은 회의를 주재하며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위해 공공기관이 선도적이며 과감하고 혁신적인 역할 수행”을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확대에 그치지 않고,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특성과 여건에 맞는 창의적인 방식으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견인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정부가 이러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여 국정과제의 실질적이고 속도감 있는 이행을 지원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당부했다. 향후 공공 정책협의회는 분기별 1회 이상 정례적으로 개최될 예정이어서, 이러한 논의와 협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