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에 따른 기회와 권리의 불균형은 우리 사회가 오랫동안 풀어야 할 숙제였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고 모든 구성원이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성평등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 개편을 포함한 성평등 거버넌스 강화, 성평등한 일터 조성, 그리고 여성 경제활동 지원 강화를 핵심 과제로 삼았다.
이 발표의 배경에는 여전히 존재하는 성별 격차와 이로 인한 사회적 비효율성이 자리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성평등정책을 총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조직을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할 계획이다. 이는 중앙 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성평등정책 전담 부서의 역할을 확대함으로써 정책 전달 체계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다. 더불어 성별영향평가와 같은 성주류화 조치를 강화하고, 폭력 예방 교육을 개편하여 실질적인 성평등 문화 확산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러한 성평등 거버넌스 강화는 성별로 인한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더불어 성평등한 일터 조성을 위해 고용평등 임금 공시제를 도입하고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는 기업 내 임금 격차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성별 임금 격차 해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기업의 자발적인 개선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조직 문화 개선을 위한 진단 및 교육 지원을 통해 성별에 따른 편견과 차별이 없는 건강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쓸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성 경제활동 지원 강화는 여성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다. 새일센터 등을 통해 여성들의 고용 유지 및 취업·창업 지원 서비스를 확대하고, 여성벤처펀드를 조성하는 등 여성 기업의 성장 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다. 지역 여성 창업 보육센터 역시 확대 운영하여 여성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성별에 따른 차별 없이 모든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는 성평등 사회로 나아가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