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겪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언어적 장벽과 교육 기회 부족으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들은 산업재해에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었으며, 이는 곧 전체 노동 현장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새로운 대책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고용노동부(장관 김영훈)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김현중)은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핵심적인 해결책으로서 9월 26일(금)부터 온라인 안전보건교육 과정을 공식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 방식으로는 다소 접근하기 어려웠던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교육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기 위한 조치다. 현재 이 온라인 교육 과정은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3개 주요 언어로 우선 운영되며, 연말까지 총 17개 언어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러한 다국어 지원은 언어 장벽으로 인한 교육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모든 외국인 노동자가 자신의 모국어로 안전보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인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온라인 안전보건교육 과정의 도입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산업 현장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고, 안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재해 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와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쉽게 안전보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외국인 노동자들의 작업 환경 안전성은 크게 향상될 것이며, 이는 곧 전반적인 노동 현장의 안전 문화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정책을 통해 모든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