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이한 보훈수당 지급으로 인해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와 유족 간의 보상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러한 보훈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공정한 예우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정책포럼이 오는 26일 국회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통일된 보훈수당 지급 체계 마련을 목표로 한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는 조례에 따라 보훈수당 지급 여부, 금액, 대상 등을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주 지역에 따라 국가유공자가 받는 보훈수당의 액수에 큰 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국가유공자 간의 위화감을 조성하고 상대적 박탈감을 안겨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보훈 관련 재정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 간의 재정력 차이 또한 이러한 격차를 심화시키는 구조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이번 정책포럼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면밀히 진단하고, 전국적으로 일관성 있는 보훈수당 지급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포럼에서는 보훈수당의 현실화 방안, 지자체 간 형평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그리고 재정 부담 완화 방안 등이 다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각계 전문가와 관계자들은 이번 포럼에서 제시될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 개선안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정책포럼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국가유공자들이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합당한 보상을 받고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이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에 대한 합당한 예우를 다하고, 미래 세대에게도 올바른 국가관을 심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궁극적으로 보훈수당 격차 해소는 국가보훈체계의 신뢰도를 높이고, 사회 통합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