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상 통신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 지구적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5G 비지상파 네트워크(NTN) 기술이 주목받고 있지만, 이를 검증하고 표준화하는 과정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5G NR(New Radio) 표준에 새롭게 도입된 NTN 기능은 기존 지상 기지국을 넘어 위성을 활용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 신기술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엄격한 테스트와 검증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연결의 끊김 없는 확장’이라는 목표 아래, 안리쓰는 3GPP 기준에 부합하는 무선 테스트 케이스를 자사의 ME7873NR 시스템에 추가하며 이러한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안리쓰가 이번에 확장한 테스트 기능은 5G 기기 테스트 규격을 담당하는 3GPP RAN5 기술 실무 그룹에서 개발한 것으로, 5G NR 모바일 장치 테스트 플랫폼 ME7834NR에서 3GPP RAN5 Rel-17 NR NTN 테스트 케이스를 성공적으로 검증 및 지원함으로써 그 기술력을 입증했다. 비지상파 네트워크(NTN)는 공중 및 지구 궤도에 위치한 플랫폼, 즉 저궤도(LEO), 중궤도(MEO), 정지궤도(GEO) 위성을 활용해 지상에서 떨어진 곳에서도 작동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3GPP Release 17에 새롭게 도입된 NR NTN 기능은 이러한 비지상파 네트워크를 5G NR 표준에 포함시킴으로써, 5G 디바이스가 지상 기지국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해 위성과 직접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는 기존 통신 인프라의 제약을 넘어서는 진정한 글로벌 5G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안리쓰 모바일 솔루션 부문 총괄 매니저인 요코 다이자부로(Yokoo Daizaburo)는 “안리쓰의 NR NTN 테스트 사례 지원은 지구상 어디서든 모바일 데이터, 음성, 메시지 서비스의 중단 없는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고 밝히며, “이는 항상 연결돼 있어야 하는 사용자, 기업 및 산업군에 강력한 지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적합성 테스트는 3GPP 기술 규격서 TS 38.523-1에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TS 38.331에 명시된 핵심 요구사항과도 완벽하게 일치한다. 해당 테스트 케이스는 안리쓰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 워킹 그룹 5(RAN WG5)에 직접 제출했으며, 현재 3GPP RAN5 포털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과정을 통해 안리쓰의 5G NR 모바일 디바이스 테스트 플랫폼 ME7834NR은 글로벌 인증 포럼(GCF) 및 북미 PTCRB에 테스트 플랫폼 251로 등록되었으며,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MRT)을 탑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광범위한 테스트를 지원할 준비를 마쳤다.
안리쓰가 제시한 3GPP Rel-17 NR NTN 테스트 사례 검증 완료는 5G NTN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항공, 해양, 원격지 등 기존 통신망이 닿기 어려웠던 지역에서도 끊김 없는 5G 연결이 가능해지며, 궁극적으로는 전 세계 어디에서든 누구나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연결 사각지대’ 없는 시대를 열 것으로 전망된다.